보성 벌교 오일장

위치 :전남 보성군 벌교읍 회정리 663-2
개장:4 일, 9일
상설:벌교역전~ 제2부용교 300m 구간
특산품: 꼬막 패류, 낙지 , 생선
기타 : 조정래 태백산맥 문학 거리
동영상 링크

벌교오일장

글.사진 이영림


벌교오일장은 4,9로 끝나는 날에 장이 열린다.
벌교시장은 뭐니뭐니 해도 꼬막, 꼬막하면 벌교로 통할 만큼 꼬막의 생산의 1번지이다.
이유는 벌교 여자만이라는 지역이 특성상 뻘이 곱고 뻘의 깊이도 깊어 미네랄 풍부하다.
벌교꼬막은 전국 생산량의 60-70%를 차지하고 있다.
11월에서 5월이 제철이고 겨울꼬막이 살이 올라 가장맛있다.
지금 음식점에서 팔리고 있는 꼬막은 냉동꼬막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벌교에서 꼬막과 함께 양대산맥을 이루고 있는 관광자원은   태백산맥 문학의 거리이다.
광복직후의 벌교의 모습을 그린 조정래작가의 소설 ‘태백산맥’때문이다

충 북 전 통 시 장

912충북괴산군괴산시장충북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
913충북괴산군목도시장충북 괴산군 불정면
914충북괴산군연풍시장충북 괴산군 연풍면
915충북괴산군청천시장충북 괴산군 청천면
916충북단양군단양인정시장충북 단양군 단양읍 도전리 615
917충북단양군매포시장충북 단양군 매포읍 평동리 1149
918충북단양군영춘재래시장충북 단양군 영춘면 상리 409버지
919충북보은군관기시장충북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 293
920충북보은군보은재래시장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137-1
921충북보은군원남시장충북 보은군 삼승면 원삼190
922충북보은군중앙시장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135-30
923충북보은군회인시장충북 보은군 회북면 중앙리 59-15
924충북영동군(사)영동중앙시장조합충북 영동군 영동읍
925충북영동군영동재래시장충북 영동군 영동읍 계산리 694-13
926충북옥천군옥천상가충북 옥천군 옥천읍 금구리 5-7
927충북옥천군옥천재래시장충북 옥천군 옥천읍 금구리 5-7
928충북음성군감곡시장충북 음성군 감곡면 454
929충북음성군대소시장충북 음성군 대소면 127-6
930충북음성군무극시장충북 음성군 금왕읍 235-9
931충북음성군삼성시장충북 음성군 삼성면 525
932충북음성군음성시장충북 음성군 음성읍 307-1
933충북제천시내토재래시장충북 제천시 중앙로 1가 32번지외 17필지
934충북제천시약초시장충북 제천시 화산동 987
935충북제천시역전시장충북 제천시 화산동 207-3
936충북제천시중앙시장충북 제천시 중앙로1가 77
937충북제천시제천동문시장충북 제천시 중앙로2가 113-8번지 외 16필지
938충북증평군증평장뜰시장충북 증평군 증평읍 중동 신동리
939충북진천군광혜원시장충북 진천군 광혜원면 광혜원리 262-3
940충북진천군덕산시장충북 진천군 닥산면 용몽리 587
941충북진천군진천재래시장충북 진천군 진천읍 120-4
942충북진천군진천중앙시장충북 진천군 진천읍 305
943충북청원군내수재래시장충북 청원군 내수읍 마산리
944충북청원군문의재래시장충북 청원군 문의면 미천리
945충북청원군미원재래시장충북 청원군 미원면 미원2리 433-13
946충북청원군부강재래시장충북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
947충북청원군오창재래시장충북 청원군 오창면 장대리 294
948충북청원군옥산재래시장충북 청원군 옥산면 오산리 211
949충북청주시내덕자연시장충북 청주시 상당구 내덕동 398-4
950충북청주시북부시장상인회충북 청주시 상당구 우암동 346-61
951충북청주시사단법인 중앙시장충북 청주시 상당구 북문로 2가 96번지
952충북청주시청주 서문시장충북 청주시 상당구 서문동 148-22
953충북청주시청주 육거리종합시장충북 청주시 상당구 석교동 63-1번지
954충북청주시가경터미널시장충북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1265번지 일원
955충북청주시복대가경시장충북 청주시 흥덕구 복대2동 1067번지
956충북청주시복대시장충북 청주시 흥덕구 복대1동 630번지
957충북청주시사직시장충북 청주시 흥덕구 사직동 265-19번지
958충북청주시사창시장충북 청주시 흥덕구 사창동 286-22번지
959충북청주시수곡시장충북 청주시 흥덕구 수곡2동 879번지
960충북청주시운천시장충북 청주시 흥덕구 봉명2동
961충북청주시원마루시장충북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 1315번지
962충북충주시남부시장충북 충주시 지현동 820
963충북충주시충주공설시장충북 충주시 충의동 261
964충북충주시충주무학시장충북 충주시 봉방동 1통
965충북충주시충주자유시장충북 충주시 충인동 253
966충북충주시충주중앙공설시장충북 충주시 성서동 306
967충북충주시충주충의상가충북 충주시 충의동 135
968충북충주시중앙청과시장충북 충주시
969충북충주시현대타운시장충북 충주시 성서동 163번지
57개의 전통 시장

고흥전통시장

사진.글 이영림

고흥전통시장


숯불향 가득한 생선구이로 유명한 고흥전통 오일시장
고흥군 고흥읍 남계리에 위치한 4, 9로 끝나는 날(4, 9, 14,19,24, 29)에 열리는 오일장이다
원래 고흥읍 옥하리에서 장이 열리던것이 1945년 광복이후 남계리로 이전하여 오일장으로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다

고흥군에 열리는 오일장들
고흥전통시장
녹동전통시장
동화전통시장
과역전통시장
동강전통시장

장안에서 직접 숯불을 피워 구운 생선이 고흥전통오일장의 대표 인기 품목이다.
구워지는 생선들은 양태(장대), 서대(박대, 못생겨서 박대라고 함 ㅋ),민어, 조기, 오징어.
이외에 너무 맛있어서 여기 주민들만 알고 먹는 다는 귀한 생선 금풍생이,  표준어로 군평선이, 다른말로 새서방고기, 샛서방고기. 너무 맛있어 남편도 안주고 새서방, 애인만 준다는 뜻으로 붙여진 이름이다.

오덕상회 이선례할머니.75세.
39년간 장사 이어오심. 고흥장이 처음 열릴때부터 함께 해서 지금껏 하루도 빠짐없이 장으로 출퇴근하셨단다.
고흥전통오일장이 처음 생기고 초반엔 꼬막, 파래, 석화등을 받아다 팔았고 말린 생선을 팔다가 한사람이 구워서 팔자 너도나도 팔기 시작해서 지금까지 왔다.
구운생선 가격은 사이즈에 따라 다른데 큰놈은 한마리 만원, 작은것은 두세마리 만원이다.  모듬으로 많이들 구입한단다
먹다 남은 구운 생선을 맛있게 재창조해서 먹을 수 있는 초간단 팁
남은 생선과 뼈에 물을 넣고( 뼈가 들어가면 육수가 뽀얗게 우러나와 구수한 맛이 난다)  끓이다가 마늘, 청양고추, 소금간만 하면 끝.
해장으로도 좋은 시원 구수한 맑은 생선뼈국이 되시겠다.

승자상회
80세이신 이명심 할머니 조기 오징어가 잘나간다고 하심.
맛있게 굽는 비결은  청결. 깨끗이 씻어 비린내를 제거해야 맛이 더욱 좋다고.

출처가 다른 또다른 극강의 고소한 냄새에 이끌려 가본다
기름짜는 집

생각치 못한 현지인들의 귀한 밥상에 초대도 받는다
이것이 남은 구운생선으로 요리한 맑은 국.  숯불향까지 품어 깊이있는 맛

이건 고동무침. 우리가 알고 있는 그 고동 맞다. 이렇게 무침으로 처음 접해본다.강하지않은 양념에 버무려 고동맛은 그대로, 오돌오돌 입안에서 느껴지는 식감이 재밌다.

채국(채소국).고흥에서만 해먹는 여름 별미로 오이냉국처럼 여린 아가배추(얼갈이 배추를 이렇게 부르신다)에 물을 충분히 넣고 새콤달콤 간을 해서 시원하게 국물까지 먹는다.

미리 뻥튀는 시간 맞춰 예약 해놓은 뻥튀기 가게로 이동해본다
뻥튀기기계는 서양의 오븐과 같은 기능을 한다.
세상이 빠르게 바뀌고 뻥튀기 손님들이 얼마나 있으려나 싶지만 세상이 바뀐것처럼 사람들의 기호도 바뀌어 요즘엔 건강 차를 끓여먹기 위해
말린 각종 곡식들, 작두콩 연근 옥수수 무우등을 튀겨 물에 끓여 마신단다.

사장님은 이 기계안에 밤, 쥐포 등등 뭐든지 구워드셔보신단다.
재료에 따라 온도와 구워지는 시간이 다르고 뻥 튀어져 나오는 정도도 다르다.
누룽지 주문이 들어왔다. 약간의 달달한 간을 하고 고루 섞어 기계안에 털어 넣는다.
누릉지는 13분가량 구워준다.
자 모두 귀를 막고 집중하자  변하지 않는것들의 소중함이 새삼 감사하게 느껴지는 순간, 펑! 단단히 마음에 준비를 하고 있어선지 그 옛날 듣던 소스라치게 놀랄 만큼의 소리는 아니다.
바로 튀겨져 나온 누릉지가 어찌나 바삭하고 고소한지 연신 입에 넣게 되는 맛이다.
사장님과 잠시지만  즐겁게 이야기를 나누고 헤어지려니 왠지 아쉽다.
서로 대박나세요 인사를 나누며 혹시모를 다음을 기약해본다.

각종 채소들도 다양하게 구색을 맞추어 손님들을 기다린다.
클라라의 전통시장탐방은 계속된다~

사도진 , 고흥의 숨겨진 섬 같은 마을

알려지지 않은 귀어 최적지

고흥군 영남면 금사리 , 낚시터,

오늘은 바다를 좋아하고 어업을 일구어 살아가는 귀어를 마음에 두고 계신 분들을 위한 전남 고흥군 영남면 금사리에 위치한 작고 푸른바다빛이 예쁜 섬같은 마을 , 사도마을을 소개합니다.

사도에 가까워질 수록 주변 경관이 너무나 예뻤다.
마치 인공적으로 사업비를 들여 조성한것처럼 누군가의 정성과 관리의 손길이 느껴졌다.
정말 먹고사는 고민만 없다면 이렇게 아름다운 곳에서 살지 않을 이유가 없지 않은가!!